"우리는 이 스타일로 5개의 챔피언스리그 트로피를 얻었습니다. 이건 모두 요한 크루이프가 만든 것이죠. 결실을 맺고 또 맺었습니다. 개선이 필요하지만, 흔들려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이것을 믿고 바꿔나가야 합니다. 우리가 게임을 한번 지고 타이틀을 잃는다고 해서 우리의 DNA를 바꾸지는 않을 것입니다" 2022년 4월, 이 글을 작성하기 몇시간 전, 유로파리그 8강인 프랑크푸르트전에서 패해 토너먼트를 탈락한 초짜 감독 사비가 인터뷰석에 나와 단호한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어쩌면 크루이프의 축구에 대한 포메이션과 기술적 움직임도 포함 되었겠지만, 더 중요한 건 우리가 이미 좋다고 생각한 방식의 무한한 신뢰와 믿음, 그리고 그것이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고집이다. 크루이프 역시 바르셀로나에 취임 후 2년동..
동유럽의 새끼사자 크루이프의 3년차는 아마 크루이프의 감독 생활에서 가장 많은 성과와 사건이 일어난 1년이 될 것이다. 3년차인 1990-1991 시즌은 한시즌 전, 유에파 컵 위너스컵의 강렬한 인상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다. 준우승의 여운이 아닌, 바로 4강전에 상대팀으로 만난 한명의 사자같은 선수 때문이었다. 바르셀로나에서 최고의 레전드로 꼽히지는 않지만, 그 누구도 따라할수 없는 레전드로 입에 오르내리는 괴팍한 한 소년의 이름, 그는 바로 '스토이치코프' 풀네임은 반복이 들어가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스토이치코프(Hristo Stoichkov Stoichkov). 그는 드리블을 크게 치고 스피드로 뒷공간을 파고 들며 몸싸움이 거친 선수였지만, 세간의 이미지와 달리 발 밑이 매우 좋은 선수기도 했다. 그가..
시작, 첫시즌 감독으로 취임한 크루이프의 첫 작업은 축구를 스포츠 관점으로 운영되게 만드는 거였다. 가장 먼저 한 과정은 그가 축구에 있어서 외부적으로도 왜 천재라고 불리우는지 알 수 있는 작업이었다. 크루이프가 선수 시절에서 감독 생활 초기로 넘어오던 시절, 축구계에서 당연시되는 문화가 하나 있었다. 회장이나 의장 클럽 이사회의 간부들이 선수 대기실로 들어오는 것이 그것이었다. 그들은 선수들이 경기 전 옷을 갈아 입을때 들어와 오늘 경기에 대한 조언과 격려를 해주던지, 경기를 지는 날이라면 선수들을 위로한답시고 라커룸에 들어와 자신의 의견을 펼쳤다. 크루이프는 이것이 선수들에게 하등 도움이 안되는 쓸데없는 짓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클럽의 이사회와 자신이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클럽 오피스라는 개념을 바르..
* 크루이프의 1기 드림팀은 내가 예전부터 칼럼으로 가장 다루고 싶었던 부분 중 하나였다. 그들은 과르디올라, 그리고 앞으로의 사비가 펼쳐질 미래의 기틀과 가이드를 만들어 준 존재였지만, 드림팀의 존재는 애석하게도 대한민국 웹상에 많은 자료로 남아있지 않았다. 지금부터 예전 모아 놓았던 자료와 각종 비화들의 번역을 각색, 극화시켜 그들이 언제, 그리고 왜 FC 바르셀로나의 정신과 기틀이 되었는지 남겨보도록 하겠다. 이제부터 난 크루이프의 시점에서 시대별로 엮어 시리즈로 글을 연재해볼까 한다. 이건 분명 올드팬으로서 매우 즐거운 작업이 될 것이다. * 자료 출처 : 치키토(일본 블로그), 메쏘드 블로우그라나(스페인 블로그,현재 폐쇄), 엘파이스, 스포르트, 엘문도데포르티보 크루이프, 크루이프, 크루이프 1..